제2공병여단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공병여단 (미국)은 미국 육군의 공병 여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한국 전쟁, 알래스카,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활동했다. 1942년 제2공병상륙여단으로 창설되어 태평양 전선에서 수륙양용 작전에 참여했으며, 한국 전쟁에서는 인천 상륙 작전에 투입되어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여러 차례 개편과 해산을 거쳐 2011년 알래스카에서 재소집되었고, 2014년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기도 했다. 2015년 해산되었으며, 부대는 여러 표창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8방공포병여단
제38방공포병여단은 1918년 창설되어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냉전 시기 주한 미군으로 활동하다 해체되었으며, 2018년 일본에서 재창설되어 미사일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5방공포병여단
제35방공포병여단은 주한 미군의 방공을 담당하며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THAAD를 운용하여 한반도 방어를 수행하고, THAAD 배치로 대한민국, 미국, 주변국 간 논쟁의 중심에 있다. - 6.25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417공병항공여단
제417공병항공여단은 한국군, 주한 미군, 유엔군을 지원하기 위해 1950년 창설되어 비행장 건설 및 정비 임무를 수행하고 한국 전쟁 중 공군 작전을 지원했으며 1956년 해산되었다. - 6.25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1임시해병여단 (미국)
미국 해병대의 제1임시해병여단은 필요에 따라 여러 차례 편성 및 해산된 임시 부대로, 한국 전쟁 당시 긴급히 편성되어 부산 교두보 전투, 마산 전투, 낙동강 방어선 전투 등에서 활약하다 제1해병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 알래스카주의 부대 - 제11공수사단
제11공수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아시아-태평양 전선의 주요 전투에 참여하고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했으며, 2022년 알래스카 육군을 기반으로 재소집되어 현재 미 육군의 북극 작전 수행을 위한 핵심 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 알래스카주의 부대 - 미국 알래스카 육군
미국 알래스카 육군은 1867년 알래스카 군관구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개편을 거쳐 현재는 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성되어 알래스카와 태평양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육군 부대이다.
제2공병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이름 | 제2공병여단 |
원어 이름 | 2nd Engineer Brigade |
활동 기간 | 1942년 6월 20일 ~ 1955년 6월 24일 1956년 11월 13일 ~ 1965년 8월 25일 2011년 9월 27일 ~ 2015년 5월 15일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공병 |
종류 | 공병특별여단(1942~1946) |
역할 | 상륙작전 |
규모 | 여단 |
별명 | (제2차 세계 대전) Put 'Em Across (21세기) Arctic Trailblazers(2011~1965) |
표어 | 해당 없음 |
색 | 파랑, 빨강, 하양 |
마스코트 | 해당 없음 |
장비 | 해당 없음 |
참전 |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항구적 자유 작전-아프가니스탄 |
기념일 | 해당 없음 |
장식 | 해당 없음 |
훈장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지휘관 | 해당 없음 |
주요 지휘관 | 해당 없음 |
![]() | |
![]() | |
과거 명칭 | |
1942년–1955년 | 제2공병수륙양용여단 |
1956년–1965년 | 제2공병특별여단 |
2011년–2015년 | 제2상륙지원여단 |
주둔지 | |
위치 | 포트 리처드슨, 알래스카 |
명령 체계 | [[파일:US Army Alaska DUI.gif|24px]] USARAK |
2. 역사
제2공병여단은 1942년 6월 20일 매사추세츠주 캠프 에드워즈에서 제2공병상륙여단으로 창설되었으며, 1943년 4월 17일 오스트레일리아에 도착한 뒤 제2공병특별여단으로 개명되었다.[1]
한국 전쟁 발발 후 제8군 지원부대로서 인천 상륙 작전에 참전하여 한반도에서 첫 전투를 치렀다.[1] 인천 상륙 작전은 한국 전쟁의 전세를 역전시킨 결정적인 작전으로 평가받으며, 제2공병여단은 이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수영과 울산 항만을 운영했다.[1] 1952년 6월 26일 제2상륙지원여단으로 개명됨과 함께 정규군에 할당되었다. 정전 협정 체결 이후인 1953년 12월, 일본 가나가와현 지가사키시 캠프 맥길에 주둔하던 중 1955년 6월 24일에 해산하였다.[1]
2009년 9월 10일, 제2공병여단은 본부 및 본부중대로 개명되었다. 2011년 9월 27일, 포트 리처드슨에서 미국 알래스카 육군 예하 부대로 56년 만에 재소집되었으며, 제3기동증강여단을 대체하였다.[4][5]
2014년 5월 29일, JTF-Trailblazers로 알려진 아프가니스탄 전구 공병여단으로 지정되어 아프가니스탄에 전개하였다. 전쟁 피해 복구를 위한 시설 복구 작전을 진행하였고, 7개월 뒤인 12월 14일 알래스카로 복귀하였다.[6] 2015년 5월 15일, 모든 활동을 마치고 해산하였다.[7]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6월 20일, 매사추세츠주 캠프 에드워즈에서 제2공병상륙여단으로 창설되었다. 1943년 4월 17일 오스트레일리아에 도착한 뒤 제2공병특별여단으로 개명되었다.[1] 1943년 6월과 7월에는 호주 제9사단과 함께 케언스에서 훈련했다.[1]여단은 뉴기니아 전역과 1944년 10월 20일 레이테 전투에 참전하였다.[1] 특히, 1944년 10월 20일에 있었던 레이테에 대한 수륙양용 공격은 필리핀 해방을 위한 중요한 전투였다.[1] 제2공병특수여단의 부대 중 9개 부대가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1] 이후 1945년 12월 16일, 미국 본토로 귀환하였다.[1]
1943년 9월 4일에는 레드 비치에, 9월 22일에는 핀슈하펜 근처의 스칼렛 비치에 호주 제9사단의 병력을 상륙시켰다.[1] 10월 11일, 일본 바지선 4척이 스칼렛 비치에 상륙을 시도했으나 제532공병상륙정 및 해안 연대 병력에 의해 격파되었고, 이 중 주니어 반 노이 일병은 사후 명예 훈장을 받았다.[1]
참전 내역 |
---|
2.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8군 지원부대로서 인천 상륙 작전으로 한반도에서의 첫 전투에 참가하였다.[1] 인천 상륙 작전은 한국 전쟁의 전세를 역전시킨 결정적인 작전으로 평가받으며, 제2공병여단은 이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수영과 울산 항만을 운영했다.[1] 1952년 6월 26일 제2상륙지원여단으로 개명됨과 함께 정규군으로 할당되었다. 정전 협정 이후, 1953년 12월에 일본 가나가와현 지가사키시 캠프 맥길에서 주둔하던 중에 1955년 6월 24일에 해산하였다.[1]스트리머 | 내역 |
---|---|
![]() 한국 전쟁 |
2. 3. 알래스카 및 아프가니스탄
2009년 9월 10일, 제2공병여단은 본부 및 본부중대로 개명되었다. 2011년 9월 27일, 포트 리처드슨에서 미국 알래스카 육군 예하 부대로서 56년 만에 다시 재소집되었으며, 제3기동증강여단을 대체하였다. 여단장 토머스 J. 로스 대령과 제임스 E. 딕킨스 주임원사를 비롯한 여단 부대원들은 기념식을 마치고 제2공병여단의 활동을 재개하였다.[4][5]2014년 5월 29일, JTF-Trailblazers로 알려진 아프가니스탄 전구 공병여단으로 지정되어 아프가니스탄에 전개하였다. 전쟁 피해를 복구하기 위한 시설 복구 작전을 진행하였고, 7개월 뒤인 12월 14일 알래스카로 귀환하였다.[6]
2015년 5월 15일, 모든 활동을 마치고 해산하였다.[7]
3. 편성
wikitext
부대 | 종류 |
---|---|
여단 본부 | |
제532공병보트 및 해안연대 | |
제542공병보트 및 해안연대 | |
제592공병보트 및 해안연대 | |
제562공병보트 정비대대 | |
제1458공병 정비중대 | |
제1459공병 정비중대 | |
제1460공병 정비중대 | |
제1570공병 중장비 작업중대 | |
제1762공병 부품 보급 소대 | |
제262의무대대 | |
제162병기 정비중대 | |
제189병참 가스 보급중대 | |
제287통신중대 | |
제695수송중대 | |
제3498병기 중정비중대 | |
제5204수송대 상륙 트럭 중대 | |
제2공병특수여단 의무 파견대 | |
제2공병특수여단 지원 포대 (임시) | |
제416군 군수지원단 밴드 |
3. 1.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6월 20일, 매사추세츠주 캠프 에드워즈에서 제2공병상륙여단으로 창설되었다. 1943년 4월 17일 오스트레일리아에 도착한 뒤 제2공병특별여단으로 개명되었다. 뉴기니아 전역과 1944년 10월 20일 레이테 전투에 참전하였다. 1945년 12월 16일, 미국 본토로 귀환하였다.[1]1942년 6월 20일 캠프 에드워즈에서 제532공병상륙정연대와 제592공병상륙정연대가 배속되어 제2공병수륙양용여단이 창설되었다.[2] 1942년 8월 6일에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9월 10일에 준장으로 진급한 윌리엄 F. 헤비 대령은 여단을 전쟁 기간 동안 이끌었다.[3] 여단은 빠르게 6,000명으로 증강되었지만, 9월에 제540상륙정연대로 1,500명을 잃었다.[4] 10월 1일, 여단은 재편성되었고, 제532연대와 제592연대는 공병수륙양용연대가 되었고, 제542공병수륙양용연대가 창설되었다. 제542공병수륙양용연대를 제외한 여단은 10월 15일에 철도를 이용하여 캠프 캐러벨로 이동했다. 11월 7일, 여단은 캘리포니아주 포트 오드로 이동했고, 다음 날 제542공병수륙양용연대가 합류했다. 1943년 1월과 2월, 여단은 샌프란시스코 출항지에서 호주로 향하는 일련의 선박에 탑승했다.[5]
호주에서 여단은 케언스에 주둔했지만, 본부는 록햄프턴에 있는 제1군단의 본부와 함께 있었다. 여단은 제411기지 정비 대대가 4월 7일에 첫 LCVP를 생산하는 상륙정 건조 시설을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5월에 여단 병력은 뉴기니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제592공병수륙양용연대 소속 10척의 LCM 분견대는 포트모르즈비로 이동하여 라케나무 강으로 물자를 수송했다. 그 뒤를 제532연대와 제542연대의 분견대가 따라 밀른만, 오로 만, 사마라이로 이동했다.[6] 6월 30일, 여단은 첫 번째 수륙양용 작전인 나소 만 상륙에 참가했다.[7] 7월 4일, 여단은 '''제2공병특수여단'''으로 개명되었고, 세 개 연대는 공병상륙정 및 해안 연대가 되었다.[8]
제2공병특수여단은 1943년 6월과 7월에 호주 제9사단과 함께 케언스에서 훈련했다. 제532공병상륙정 및 해안 연대는 이후 뉴기니로 이동하여 9월 4일에 라에 근처의 레드 비치에 제9사단의 일부를 상륙시켰다. 9월 22일, 핀슈하펜 근처의 스칼렛 비치에 제9사단의 병력을 상륙시켰다.[9] 10월 11일, 일본 바지선 4척이 스칼렛 비치에 상륙을 시도했다. 그들은 제532공병상륙정 및 해안 연대 병력에 의해 격파되었고, 이 중 주니어 반 노이 일병은 사후 명예 훈장을 받았다.
그 후 몇 달 동안, 제2공병특수여단의 부대는 아라베, 롱아일랜드, 사이도르, 시오, 로스 네그로스, 탈라세아, 홀란디아, 와케데, 비악 상륙에 참가했다. 1944년 10월 20일에는 필리핀의 레이테에 대한 수륙양용 공격에 참가했다. 그 후 몇 달 동안 필리핀 해방을 위한 일련의 수륙양용 작전에 참가했다. 제2공병특수여단의 부대 중 9개 부대가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3. 2. 2011년 (알래스카)
2009년 9월 10일, 제2공병여단은 본부 및 본부중대로 개명되었다. 2011년 9월 27일, 제2공병여단은 제3기동증강여단을 대체하고 포트 리처드슨에서 미국 알래스카 육군 휘하 부대로서 56년 만에 다시 재소집되었다. 여단장 토머스 J. 로스 대령과 제임스 E. 딕킨스 주임원사는 여단 부대원들과 함께 세레모니를 마치고 제2공병여단의 활동을 재개하였다.[4][5]4. 표창 및 훈장
제2공병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여러 훈장과 표창을 받았다. 그 중 주니어 반 노이 일병은 1943년 10월 11일 핀슈하펜 근처 스칼렛 비치에서 일본군 바지선 4척을 격파한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을 받았다.[5]
훈장 | 내역 |
---|---|
명예 훈장 | 주니어 반 노이 |
4. 1. 부대 표창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해군)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